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한내레터

[한내레터 다시읽기] 의료공공성에 대한 단상 (2012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한내
댓글 0건 조회 1,805회 작성일 24-06-18 16:51

본문

24049212bd7060c6a6ca70799182e5f6_1718696995_3455.jpg
 

이승원 (노동자역사 한내 전 사무처장)

 

 

지금 상황대로 무상의료가 되면 어떻게 되지?’ 지금과 같은 의료체계에서 무상의료가 된다면 우리에게 의료의 선택권은 없을 것이다. 무조건 건강검진 받고 통계치 보다 나쁜 수치가 나오면 약먹고, 이상 소견이 나오면 수술 받고, 치료라는 이유로 감금당하고 그러다가 악화되면 투석도 받고, 인공장기와 관절도 갈아 넣고 이식도 받으면서 삶의 끝을 생각하게 될 것 같다.

아직은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약과 치료항목들도 있고, 자비 부담률도 만만치 않고, 중한 병일수록 치료효과에 대한 신뢰가 높지 않으니 다른 방법들도 찾고 있지만 무상의료라면 어떻게 될까?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 200년도 안된 서양의학이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게 된 것은 어떤 이유인가? 군사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박정희가 의료법을 개악하여 의사와 한의사가 아니면 의료행위 자체를 못하도록 하면서 부터이다. 그래서 침사, (), 접골, 안마법 등의 전통의술은 사장되고 병원과 한의원만 번성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전통적인 민방에 의한 생약들은 건강보조식품이라는 포장 외에는 판매할 수도 없게 되었다. 최근 제약회사 연구진들은 오지의 원주민들이 전통적으로 쓰는 약초를 연구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경험의학을 통해 터득한 그들의 약들이 훨씬 우수함을 인정한 사례이다.

 

그래서 무상의료를 위해서는 의료행위의 독점부터 풀어야 한다. 법적 강제가 아니라 효과를 통해 건전한 경쟁이 이루어져야한다. 이것이 의료비를 낮추고 음성적인 의료행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나날이 늘어가는 의료사고에 대해서도 언제까지 무대책으로 갈 것인가? 독점적 지위가 사라지면 안전한 치료법을 개발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체제로 전환되어 갈 것이다. 어려서부터 자기 스스로 건강한 몸을 유지할 수 있는 면역력을 증강시킬 수 있도록 운동과 먹는 것 등을 교육하고 습득하게 해야 한다. 이런 것이 진정한 예방이고 의료비를 낮출 수 있는 길이다. 아픈 사람이 많으면 국민총생산이 증가하는 모순덩어리 자본주의 체제는 이제 바꿔내야 한다. 사람의 목숨을 갖고 돈을 버는 장사꾼은 없어야겠다.

 

그러나 정작 건강에 관심을 갖는 지금의 상황에서 무상의료가 된다면 혜택을 보는 사람은 의료자본뿐이다. 고가의 의료기기들을 팔아먹고 치료만으로 이윤율이 확보되지 않자 예방의학을 이야기하며 검진용 장비로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입자에서 본다면 건강하기 위해 검진을 받지만 방사능을 이용하는 X-ray촬영, X-ray400배에 달하는 방사능에 노출되는 CT를 찍으면서도 과연 내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민도 못하고 있다. 암에 걸리면 당연히 방사선 치료를 받아야 하고 당뇨, 고혈압은 평생 약에 의지해서 살아야 한다. 두통, 치통, 생리통을 한 가지 약으로 해결하는 서양의학은 진통제의 오용으로 신경계통 질환을 유발시키고, 항생제의 남용은 슈퍼박테리아를 병원에서 만들고 있다.

 

의료공공성의 문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의료보험 확대적용, 무상의료가 의료자본의 고수익만 보장하고, 노인요양보험이 현대판 고려장 같은 노인요양병원만 양산하여 병원운영자들의 배만 불린다면 현대사회의 비극 아닌가 싶다. 국가에게 건강과 치료 문제를 해결하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내 건강을 국가와 자본에게 맡기고 싶지 않다. 나에게 올 혜택만큼 돈으로 준다면 더 좋은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 같다. 민주노총과 정치권도 이제는 의료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를 토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사진] 의사 수와 공공성, 한겨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