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37년사_돈보다 생명을(절판)
페이지 정보

본문
설명
1부 산별노조 건설로 향하는 병원 노동조합 1987~1997
1장: 한국사회 변화와 노동운동
2장: 병원 노동조합 결성과 병원노련
병원 노동조합 결성
담장을 넘어 연대하는 노동자들
병원노련 결성과 합법성 쟁취 투쟁
병원노련의 운영과 활동
3장: 병원노련의 공동투쟁
임단투와 공동투쟁
현장 투쟁의 힘으로 산별노조로
4장: 의료민주화 운동
5장: 96-97 노동법 개정 투쟁
세계화와 노동법 개정
민주노총의 대응 지침과 병원노련의 총파업 조직화
총파업투쟁
총파업이 남긴 것
6장: 보건의료노조 건설 추진
산별노조 건설 논의 과정과 쟁점
조합원과 함께 산별노조 건설로
2부 보건의료노조 출범과 산별교섭 시대 개막 1998~2008
1장: 신자유주의 정책과 노동운동
김대중 정부의 노동정책과 민주노조 진영의 투쟁
노무현 정부의 노동정책과 민주노조 진영의 대응
보건의료 운동에 주어진 과제
2장: 보건의료노조 출범
보건의료노조 출범과 조직현황
보건의료노조 체계와 운영
3장: 보건의료노조 산별교섭과 투쟁
구조조정 저지 투쟁과 산별파업(1998~2001)
현장으로부터 산별교섭 추진(2002~2003)
산별교섭 시대 개막(2004~2008)
4장: 의료공공성 쟁취 투쟁
의료공공성의 역사와 목표
의료공공성 개념 정립과 ‘돈보다 생명을’ 담론화
무상의료 요구 투쟁
5장: 노동3권 쟁취 대정부 투쟁
직권중재 철폐 투쟁
노사관계로드맵 저지 투쟁
한미 FTA와 보건의료노조
2008년 이명박 정부의 폭주에 제동을 건 촛불 투쟁
6장: 산별노조 토대 구축과 도약을 위한 노력
산별노조 토대 구축을 위한 노력
국제연대
정치세력화
3부 산별교섭 정상화와 의료민영화 저지 투쟁 2009~2016
1장: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공세와 노동운동의 대응
2008년 촛불집회 이후, 이명박 정부의 공세와 노동운동의 대응
박근혜 정부의 민영화, 노동 개악 드라이브와 탄압
2장: 산별교섭 복원을 위한 산별투쟁
산별교섭 파행과 현장교섭(2009~2010)
산별교섭 정상화 투쟁(2011~2013)
3대 존중 병원 만들기와 의료민영화·노동 개악 저지를 위한 산별투쟁
3장: 의료민영화 저지 무상의료 실현 투쟁
의료민영화 저지 투쟁
의료공공성 강화, 의료공급체계 혁신, 평가인증 개선을 위한 투쟁
4장: 인력 확충과 공공의료 확대 투쟁
보호자 없는 병원과 인력 확충 투쟁
감염병 대응과 공공의료 사수 및 확대 투쟁
5장: 노동 개악 저지 및 노동기본권 쟁취 투쟁
이명박 정부의 노동 개악 저지 투쟁
박근혜 정부의 노동법 개악 저지와 촛불항쟁
6장: 산별노조 전환 완료와 발전을 위하여
산별노조 전환 완료와 확대 사업
국제·사회 연대
정치세력화
4부 일터 바꾸기와 산별노조의 질적 도약을 위한 모색 2017~2023
1장: 문재인·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과 노동운동의 대응
문재인 정부의 개혁과 노동운동의 대응
윤석열 정부의 등장과 노동운동의 대응
2장: 일터 바꾸기와 노정합의 쟁취·이행 위한 투쟁
일자리혁명과 산별교섭 추진(2017~2019)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산별교섭 추진(2020~2021)
산별교섭과 9.2 노정합의 이행 요구 총파업(2022~2023)
3장: 의료공공성 강화 투쟁
의료민영화 저지 투쟁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투쟁
4장: 인력 확충과 공공의료 확대 투쟁
인력 확충 투쟁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대응과 공공의료 확충 투쟁
5장: 의료현장의 인권유린 개선과 비정규직 정규직화 투쟁
갑질 없는 인권 존중 노동현장 만들기
비정규직 정규직화 투쟁
6장: 노동기본권 쟁취 투쟁
문재인 정부의 노동 개악 저지 투쟁
윤석열 정부의 노조 탄압 저지와 노조법 개정 투쟁
7장: 산별노조 발전을 위한 노력
산별노조 확대 강화
국제·사회연대
정치세력화
부록
• 9.2 노정합의문
• 1987~2023 보건의료노조 37년 주요 일지
• 병노협, 병원노련 역대 임원과 본부장
• 보건의료노조 역대 임원과 본부장, 단일조직 대표
- 이전글키워드로 보는 보건의료노조 37년사(절판) 24.12.26
- 다음글복수노조 노조파괴 공작에 맞선 투쟁_우리는 파괴되지 않았다 24.09.30